티스토리 뷰
❄️김장 백김치 맛있게 담는법 (시원하고 달큰한 ‘식당 맛’ 그대로 3포기 만드는 법)
마인드리치 (MindRich) 2025. 11. 17. 15:16목차

겨울만 되면 유난히 생각나는 국물이 있습니다.
바로 **달큰하고 시원한 ‘백김치’**죠.
하지만 백김치는 일반 김치보다
- 싱거워질까 걱정되고
- 국물 맛이 안 살아날까 고민되고
- 재료 비율이 애매하면 실패하기 쉬운 음식이에요.
그래서 오늘은 **딱 3포기 기준으로 정확하게 맞춘 ‘겨울 백김치 황금레시피’**를 공개합니다.
이 비율만 따라 하면 식당에서 먹던 깊은 맛 그대로 재현됩니다.
🥬 왜 백김치는 ‘비율 하나’가 모든 맛을 결정할까?
백김치는 빨간 양념으로 맛을 내지 않기 때문에
**국물 맛이 99%**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
특히 아래 5가지를 얼마나 정확히 맞추느냐가 핵심이에요:
- 배추 절임 염도
- 무와 배·사과의 단맛 비율
- 마늘·생강의 향
- 물과 소금의 조합
- 숙성 온도
이 글의 3포기 레시피는 실패 확률이 거의 0%인 최적 비율입니다.
🧂 1단계. 배추 절이기 (3포기 기준)
✔ 준비
- 배추 3포기
- 굵은소금 1컵
- 물 적당량
- 절임 시간: 6~7시간
✔ 절이는 법
- 배추를 세로로 갈라 속에 굵은소금 골고루 뿌리기
- 줄기 쪽에 더 신경 써서 뿌리기
- 2~3시간마다 뒤집기
- 6~7시간 뒤, 손으로 잡았을 때 부드럽게 휘면서 중심은 단단한 정도가 딱 맞음



🍎 2단계. 백김치 육수 황금비율 (3포기)
✔ 준비 재료
- 배 1개
- 사과 1개
- 양파 1개
- 무 2/3개
- 마늘 10개
- 생강 한쪽
- 물 3.5~4L
- 천일염 약간
- 설탕 아주 약간(티스푼 1/3~1/2)



✔ 꿀팁
- 배·사과는 껍질째 사용해야 향이 훨씬 진해요.
- 생강·마늘을 과하게 넣으면 알싸하게 변하니 적당히!
- 물 양은 3.5~4L 사이에서 조절해도 맛이 안정적이에요.
🧊 3단계. 맑고 시원한 백김치 국물 만들기
- 모든 육수 재료를 넣고 약불에서 25~30분 우려내기
- 체로 걸러 맑은 국물만 남기기
- 국물이 따뜻할 때 소금·아주 소량의 설탕 넣기
- → 반드시 실온까지 식혀 배추에 부어야 함
✔ 왜 설탕이 필요할까?
단맛을 내는 게 아니라
젖산균 발효를 도와 백김치 특유의 ‘시원한 맛’을 빨리 끌어올리는 역할입니다.



🍲 4단계. 속재료 준비 (3포기 기준)
✔ 준비 재료
- 배추 3포기
- 무 2/3개
- 배 1개(반은 얇게 슬라이스)
- 대파 1대
- 마늘 6개
- 생강 아주 조금
- 홍고추 1~2개(장식용, 매운맛 없음)
✔ 속재료 TIP
- 무는 두껍지 않게 사각으로 썰면 시원함이 2배
- 배 슬라이스는 국물에 자연스러운 단맛을 더해줌
- 홍고추는 넣으면 색감이 살아나지만 안 넣어도 됨



🧴 5단계. 백김치 담그기
- 절인 배추를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빼준다
- 속재료를 배추 잎 사이에 골고루 넣기
- 준비한 국물을 배추가 잠기도록 붓기
- 뚜껑을 살짝 열어 하루 실온 숙성 후 김치냉장고로 이동
🕒 6단계. 숙성 타이밍 (진짜 맛의 핵심)
✔ 1) 실온 18~20℃
- 24시간 숙성
✔ 2) 김치냉장고 0~1℃
- 3~5일차 → 가장 맛있음
- 7일차 → 깊은 단맛·감칠맛 최고치
- 14일차까지 풍미 상승
겨울 백김치는 서늘한 온도에서 천천히 익기 때문에
국물의 단맛과 시원함이 자연스럽게 깊어지는 계절 음식입니다.



🌟 실패 없이 더 맛있게 만드는 비법 5가지
✔ 1) 육수는 전체 물양의 20%만
너무 많이 넣으면 ‘과일즙 맛’이 되어버립니다.
20%면 자연스러운 깊이만 살아나요.
✔ 2) 배 슬라이스는 반만
육수용 반, 생으로 넣는 반 → 단맛이 두 층으로 깊어짐.
✔ 3) 소금은 절대 줄이지 말기
백김치는 싱겁지만
발효 안정성을 위해서 일정 염도는 반드시 필요합니다.
✔ 4) 국물 맛이 처음에는 밍밍해도 걱정 금지
숙성 24시간 지나면 모든 맛이 올라오기 시작합니다.
✔ 5) 숙성 온도는 무조건 ‘저온’
0~1℃가 가장 깔끔하게 익습니다.
[함께보면 좋은글 ]
절임배추 5포기 김장김치, 1~2인 가구 딱 좋아요! 황금 비율 양념 레시피까지
겨울이 되면 빠질 수 없는 김장철! 하지만 1~2인 가구에게 20kg 김장은 너무 부담스럽죠. 그래서 준비했습니다! 절임배추 5포기로 만드는 소량 김장김치 레시피. 부담 없이 맛있게 담글 수 있는 황
lifeofinvestliving.com
김장 후 남은 양념 김치속 100% 활용법!
남은 김칫소, 그냥 버리지 마세요! 부침개부터 찌개, 볶음까지 김치속으로 만드는 찐 맛집 요리 5가지 레시피 총정리.김장 후 남은 김칫소 100% 활용법!밥반찬부터 부침개까지, 실전 요리 레시피 5
lifeofinvestliving.com
'LifeRich: 슬로우 라이프와 자기계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백김치 10포기, 식당보다 맛있게 담그는 황금레시피 (겨울 김장 전용) (0) | 2025.11.17 |
|---|---|
| 겨울 백김치 황금레시피 (5포기 기준, 시원하고 달큰한 식당 맛 그대로!) (0) | 2025.11.17 |
| 🏐 언더독 반란의 주인공, 원더독스 3:1 대역전! 김연경 감독의 전략이 통했다 (0) | 2025.11.17 |
| 수능 성적표 발표일은 언제? 이후 일정 & 수험생이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(0) | 2025.11.14 |
| 김장 후 남은 양념 김치속 100% 활용법! (0) | 2025.11.14 |